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금융 용어 모음
은행 창구나 뉴스에서 들은 그 단어, 무슨 뜻인지 몰라 난감했던 적 있으신가요? 쉽게 설명해드릴게요!
"연금저축 계좌에 세액공제는 어떻게 받는 건가요?" "이율이 복리로 적용되나요?" 이런 질문들, 한 번쯤 들어보셨죠? 저도 예전엔 금융 용어가 너무 어렵고 낯설어서 은행에 갈 때마다 멘붕이었어요. 그래서 오늘은 실생활에서 자주 등장하지만 제대로 알지 못했던 금융 용어들을 알기 쉽게 정리해봤어요. 이 글 하나면 재테크 대화도 문제없습니다!
1. 복리와 단리의 차이
은행 적금 가입할 때 가장 많이 듣는 용어 중 하나가 복리와 단리입니다. 간단히 말해, 단리는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구조고 복리는 이자에도 다시 이자가 붙는 구조예요. 즉, 시간이 지날수록 복리는 더 큰 수익을 만들어줍니다.
2. 신용등급 vs 신용점수
예전엔 1등급부터 10등급까지 나뉘었지만, 현재는 신용점수제로 변경됐어요. 점수는 1~1000점 사이로, 숫자가 높을수록 신용이 좋다는 뜻이에요. 대출 이자나 한도, 카드 발급 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용 점수 관리가 정말 중요해요.
구분 | 기존 신용등급 | 현행 신용점수 |
---|---|---|
우수 | 1~2등급 | 900점 이상 |
양호 | 3~4등급 | 700~899점 |
주의 | 5등급 이하 | 699점 이하 |
3. DTI와 DSR의 개념
DTI
는 총부채상환비율로, 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비중을 뜻해요. 반면 DSR은 모든 대출(신용, 카드론 등 포함)을 고려한 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입니다. 대출 승인 시 DSR이 더 엄격하게 작용해요.
- DTI: 부동산 대출 위주
- DSR: 전체 금융부채 반영
4. 세액공제와 소득공제
연말정산 시즌에 자주 듣는 말이죠. 소득공제는 과세 대상 소득 자체를 줄여주는 방식이고, 세액공제는 납부해야 할 세금 금액에서 직접 깎아주는 방식이에요. 세액공제가 훨씬 더 직접적인 혜택이에요.
5. ETF와 펀드의 차이
둘 다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하는 금융상품이지만, ETF(상장지수펀드)는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사고팔 수 있고, 펀드는 은행이나 증권사 통해 가입 후 환매해야 하죠. 유동성과 수수료 측면에서 ETF가 유리하다는 평이 많아요.
항목 | ETF | 펀드 |
---|---|---|
거래 방식 | 주식시장 실시간 거래 | 가입/환매 방식 |
수수료 | 낮음 | 다소 높음 |
6. 인플레이션과 실질 수익률
인플레이션
은 물가가 상승해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이고, 실질 수익률은 이 물가 상승을 고려한 수익률을 말해요. 예금 이율이 3%라도 물가가 5% 오르면 사실상 마이너스 수익이란 거죠.
- 명목 수익률 - 물가상승률 = 실질 수익률
- 고정금리 상품은 인플레이션에 취약
- 실질 수익률이 플러스인지 항상 확인
카카오페이나 토스 앱, 나이스(NICE), 올크레딧(KCB) 같은 신용평가사 앱에서 무료 조회할 수 있어요.
증권사 계좌를 만들고, 주식처럼 원하는 ETF를 검색해서 매수하면 됩니다. 수수료와 추적지수는 꼭 확인하세요.
개인연금, IRP, 보장성보험, 기부금 등을 적극 활용해 보세요. 한도 내에서 공제가 가능합니다.
정기적금 중 일부는 복리로 이자가 계산돼요. 가입 전 상품 설명서에서 '복리계산'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.
대출 심사 시 핵심 요소예요. DSR이 높으면 한도가 줄어들거나 거절될 수 있어요. 기존 대출 줄이는 게 우선입니다.
예금 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빼면 실질 수익률이 나와요. 예: 4% 금리 - 3% 물가 = 실질 수익률 1%
오늘 소개한 금융 용어들, 실제로 뉴스나 은행에서 자주 접하지만 막상 뜻을 몰라 곤란했던 경험 있으셨죠? 저도 처음엔 어렵게만 느껴졌지만, 하나하나 차근차근 이해하고 나니 이제는 금융 상담할 때도 자신감이 생겼어요. 생활 속 재테크에 관심 있다면 오늘 정리한 용어부터 익혀보세요! 여러분의 똑똑한 금융 생활, 제가 응원할게요 :)